본문 바로가기
한국인의 포르투갈 생활 이야기/일상

포르투갈 물가 - 월세, 공과금, 식비, 교통비 등! 실제 거주자의 생생한 생활 정보

by 포르투갈 코포커플 2025. 3. 15.
728x90
반응형

 포르투갈에 2년 넘게 거주하고 있는 이민자로서 이민이나 여행을 준비하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포르투갈 물가에 대해 써보려고 한다. 포르투갈 이민 준비 할 때 포르투갈 정보가 많이 없어서 이민 준비에 막막했는데 다른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글쓴이 작성 기준

1) 시각: 2025년 3월

2) 지역: 포르투갈 리스본

3) 가구: 2인 가구

4) 소득수준: 서민 (골든비자나 다른 사업비자로 이민 온 것 아님)

*데이터 출처 : Numbereo

Cost of Living in Portugal. Prices in Portugal. Updated Mar 2025

 

Cost of Living in Portugal

Average prices of more than 40 products and services in Portugal. Prices of restaurants, food, transportation, utilities and housing are included.

www.numbeo.com

 출처사이트인 Numbero의 데이터를 보면서 작성해보겠다. 데이터를 확인해봤는데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이것을 참고하여 실생활 후기를 함께 작성해본다.


1. 식당, 외식 물가

식당, 외식물가

 첫번째로 식당, 외식물가에 대해 살펴보겠다.
 식당은 고급식당이 아닌 일반 기준으로 작성이 된 것 같다. 로컬식당의 메뉴는 8~10유로이지만 리스본 특성상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식당이나 좀 더 비싼 식당은 보통 기본 메뉴가 12~13유로하는 곳도 많다.

 2명에서 3 three-course, 즉, 에피타이저, 메인메뉴, 후식까지 하면 45유로 정도는 나오겠지만 한국인들은 에피타이저나 후식은 잘 안 먹고 메인메뉴만 먹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메인메뉴와 음료만 먹는다면 35유로 정도 나올 것 같다.

 그 외 맥도날드와 음료의 메뉴의 가격도 실제 가격과 거의 비슷하다.

 

2. 마트, 장바구니 물가

마트, 장바구니 물가

 두번째로는 마트, 장바구니 물가에 대해 알아보겠다.

 우유에 다양한 종류가 있겠지만 0.94유로로 계산해보면 비슷하다. 쌀도 1kg 짜리를 파는데 가격이 비슷하다. 우리나라 처럼 수십키로 짜리는 없다. 기껏해야 2 kg짜리가 있다. 

 나머지 과일, 음료의 가격도 거의 맞아 떨어진다. 닭고기,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의 가격이 빠져 있는데 부위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렇게 비싸지 않다. 삼겹살 기준으로 보면 1 kg에 4.89유로 정도하며 닭고기는 닭 한마리 kg에 2.29유로 정도 한다.


3. 교통비

교통비

 세번째로는 교통비다.

 편도 요금이 2유로라고 하지만 2유로까지는 아니고 1.7~1.8유로 정도 되는 것 같다. 버스랑 지하철 모두 그 정도 한다. 물론 시내버스를 기준으로 그런 것이고 광역버스나 광역지하철은 조금 더 비싸다.

 월정액권은 40유로라고 나와있는데 이것은 리스본 광역권 의 가격 기준이고, 리스본에서만 이동할거면 30유로짜리를 사면 된다. 월정액권으로 지하철, 버스, 기차, 트램, 수상보트 등등 거의 모든 대중교통이용이 가능하다.

 택시는 잘 안 타서 모르겠다. 택시 대신 우버(Uber)나 볼트(Bolt)를 많이 쓴다. 리스본 내에서 이동할 때, 거리에 따라 다르겠지만 10~20유로 정도 더 내는 것 같다.

 기름의 가격은 변동이 좀 많기 때문에 참고로만 보고, 차량의 가격은 한국과 비교했을 때 1.5배는 비싼 것 같다. 자국 차량브랜드가 없어서 수입차에만 의존해서 그런지 몰라도 차량의 가격이 매우 비싸다. 현지 평균소득으로는 차량 구매가 매우 어렵다.

4. 공과금(전기, 수도, 가스, 휴대폰, 인터넷 등)

 네번째는 공과금이다. 전기요금, 수도요금, 가스요금은 따로 안 나와있고 통째로 나와있다. 전기와 가스가 에너지 가격에 따라 변동이 심하고 가격도 비싸다. 수도요금은 비교적 저렴하다. 계절과 각 가정의 사용습관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충 평균적으로 114.89 언저리 나오는 것 같다. 우리 집은 2인 기준 100유로가 좀 안 나온다.

 공과금은 민영화(?)되어있어서 한국보다 소득대비 비싼 것 같다. 여름에 에어컨을 틀거나 겨울에 히터를 틀면 요금이 왕창 나오기 때문에 조심해야한다. 에어컨과 히터를 거의 안 틀고 살았는데 평균 100유로 정도 나왔다.

 휴대전화는 제일 저렴한 것이냐 무제한이냐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15~20유로 정도의 요금제를 쓰는 것 같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인터넷이나 TV에 결합하면 가격을 더 낮출 수 있다. 인터넷도 보통 저 가격으로 보면 될 것 같다.

 

5. 스포츠 그리고 레져

스포츠&레저

 헬스클럽의 경우 클럽마다 가격이 다르겠지만 38유로까지는 아닌 것 같다. 조금 더 저렴한 것 같다. 테니스 코트 렌트는 안 해봐서 가격 판단이 어렵다. 영화티켓의 또 일반이냐 3D냐 등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7~8유로 정도로 맞는 것 같다.

 

6. 자녀 교육비

교육비

 아직 아이가 없어서 교육비 관련해서는 뭐라고 말하기 어렵다. 공립학교는 학비가 무료이고 사립학교나 국제학교는 더 비싸다.

 

7. 의류 및 신발

의류 및 신발

 의류도 브랜드마다 가격차이가 많이 있다. Levis 501이 어떤 브랜드인지는 모르겠지만 저렴한 브랜드는 아닌 것 같다. 우리나라로 치면 탑텐, 스파오, 유니클로 같은 저렴한 브랜드에서 옷을 사면 80유로 보다는 훨씬 싸게 청바지를 살 수 있다. 20~30유로 정도하는 것 같다.

 여름옷은 Zara, H&M 기준으로 33유로라고 하는데 더 저렴한 브랜드에서는 10~20유로로도 구매할 수 있을 것 같다. 품질도 그렇게까지 나쁜 편은 아니다.

 신발과 구두는 보통 옷보다 비싼 편이니 저 가격 기준으로 보면 될 것 같다.

 

8. 월세, 주거비용

월세, 주거비용

 포르투갈의 월세는 아주 비싸다. 최근 몇년간 급등을 했다. 원룸 월세만해도 평균 900~1000유로 되고, 쉐어하우스 방 하나를 구하면 400유로 정도하는 것 같다.


9. 부동산 매매가

부동산 매매가

 포르투갈 아파트의 가격은 지역마다 건물마다 천차만별이니 Idealist라는 어플, 사이트를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10. 평균소득과 대출금리

평균소득과 대출금리

 포르투갈의 세후 평균 소득은 1053.43유로라고 하는데 얼추 맞는 것 같다. 모기지 금리는 4.8%라고 하는데 현재 기준과는 조금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요즘에는 금리 변동이 계속 일어나고, 은행에 따라 차이가 좀 있으니 모기지 금리는 은행에서 확인 하는 것이 좋겠다.

 

11. 요약

요약

  4인 가족 기준은 판단이 어렵지만, 1인 가구 월간 비용은 렌트가격을 뺀 수치인데도 다소 높게 설정된 것 같다. 생활비는 각자 생활 패턴 및 경제적 여건에 맞게 따로 산출해봐야할 것 같다.

 

 *내 생각으로는 장바구니 물가만 저렴하고, 나머지 공산품과 서비스 물가는 소득대비 비싼 것 같다.

728x90
반응형

댓글